여러분은 아이들이 많은 동네에 살고 계신가요? 저는 초등학교 바로 옆에 살고 있어 아이들을 자주 마주칩니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집 근처 카페에도, 학부모와 초등학생이 아닌 손님은 저뿐이네요. 하지만 걸어서 10분 거리인 대학가 카페를 가면 어린이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바야흐로 노키즈존의 시대니까요. 공공장소라고 해서 사정이 다르진 않습니다. 지하철에도 아이와 동행하기가 부담스러워 택시를 타는 일이 흔하다고 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놀이터는 어린이가 주인인 거의 유일한 장소입니다. 그러나 어떤 어린이에게는 놀이터마저도 허락되지 않습니다. 장애 아동이 이용할 수 있는 놀이터, 일명 통합놀이터는 전국 약 8만 개의 놀이터 중 0.04%, 29곳뿐입니다. 그리고 전체 아동 중 장애 아동은 10%입니다.

한편 통합놀이터를 만드는 사람들은 0.04%와 10%라는 수치의 차이 이상을 바라봅니다. 이들은 ‘통합’이라는 단어의 진정한 의미를 더 많이 이야기해야 한다고 합니다. 놀이터는 ‘통합’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적 실험의 장이라는 겁니다.

오늘의 <쓸모있는 정치플리>에선 통합놀이터를 통해 정치적 결정 과정과 그 안에서 발휘될 수 있는 상상력을 살펴보겠습니다.

키워드: 통합놀이터, 장애 감수성, 숙의 민주주의

미리 보는 결론: 놀이터를 통해 민주주의를 연습할 수 있다!

왜 중요해?

  • 「유엔아동권리협약」 제31조와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7조에 따르면 모든 아동이 장애 유무나 장애 정도에 따라 차별받지 않고 완전히 참여해 놀 권리를 실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하지만 우리나라의 장애 아동은 접근 가능한 시설도 부족하고, 장애 아동을 꺼리는 분위기 때문에 놀이터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 이런 환경은 비장애 아동에게 장애에 대한 편견을 심어주기 쉽습니다. 실제로 장애 아동과 어울리는 일이 드문 고연령대 아동일수록 장애 아동을 과도하게 배려하거나 의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통합놀이터는 장애 아동을 포함한 모든 어린이가 소외되지 않고 동등한 놀이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놀이터를 말합니다.

어떻게 바꾸고 있어?

통합놀이터 사업은 거의 지자체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놀이터는 주민들의 생활과 밀착된 장소인데, 지자체가 나서면 주민들의 욕구를 섬세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울시 노원구의 사례📌

통합놀이터 조성에 가장 적극적인 지자체는 서울 노원구입니다. 노원구는 비영리단체 세이브더칠드런과 협업해 구내 놀이터 전반을 개선하는 통합놀이환경조성 1000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는 통합놀이환경 진단, 진단 결과에 따른 개선계획 실행, 주민참여 워크숍으로 구성됐습니다.

통합놀이환경 진단 조사단은 총 165명으로, 이중 83명이 아동입니다. 조사단은 올 8월까지 지역내 놀이터를 전수조사할 예정입니다. 워크숍에서는 역시 아동과 성인이 함께 통합놀이터 설계 방향을 논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