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콘폴리틱스》는 문화콘텐츠에 나타나는 정치적 배경을 ‘덕력’ 넘치는 시각으로 파헤쳐보는 콘텐츠입니다.

음모론, 우리 세상의 인식틀

음모론은 2010년대 한국 정치의 세계관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는 꼼수다>에서 김어준을 비롯한 패널들은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다양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러한 의혹 중 분명 사실로 밝혀진 것도 있었지만 증명할 수 없는 의혹도 있었다. 이후, 김어준은 세월호 다큐멘터리, 2012년 대선 부정 다큐멘터리들을 잇달아 프로듀싱하며 한국 정치를 음모론적 세계관으로 밀어 넣었다. 이에 대해 ‘팩트’의 기준이 파괴되는 것을 목격한 언론인, 법조인 출신 엘리트들은 김어준이 만든 대안현실을 비난했다.

그러한 음모론은 한국 사회의 독자적인 현상이 아니라 현대 정치에서 보편적인 현상이라 봐야 한다. 음모론이 본격적으로 대중화하는 기점은 존 F. 케네디 암살을 전후로 한다. 한국에서도 유력 인사의 죽음이 불가피하게 음모론을 불러왔다는 점을 상기할 때, 국민들은 대통령의 죽음을 쉽사리 받아들이지 못했을 터다. 1963년 11월 22일, 링컨 컨티넨탈 차를 타고 댈러스 시내를 퍼레이드하던, 존 F. 케네디는 리 하비 오스왈드가 쏜 총탄에 맞아 사망한다. 케네디가 암살한 장면은 전국에 퍼져 나갔다. 대중 미디어가 보편화된 시기였으니 이런 초대형 사건은 들불처럼 번져 갔을 게다.

케네디의 죽음이 과연 리 하비 오스왈드라는 개인이 벌인 행위에 의한 것이 맞냐는 질문도 이어졌다. 배후에 음모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2010년대 한국에서 벌어진 사건 사고을 바라보는 관점과도 상당 부분 유사하다. 어떤 이들은 천안함 폭침 사건과 세월호 사건에 대해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 아닌, 천안함 내부 문제나, 아군의 오폭인데도 정부가 북한의 소행으로 몰아갔다는 주장이다. 세월호에 관해서도 세월호를 고의로 침몰시켰다는 식의 음모론이 불거지기도 했다. 2010년대 한국 사회를 관통하는 음모론들의 기본적 얼개는 케네디 암살에 관련된 음모론과 비슷하다. 사건이 일어나자, 많은 사람들이 충격 받는다. 그러나 그 와중에도 불신하는 이들이 생긴다. 그들은 사건의 디테일을 꼬치꼬치 캐묻는다.

1963년, 존 F. 케네디의 암살은 그 배후를 두고 수 많은 음모론을 불러일으켰다

케네디 암살을 조사하는 워런 위원회는 미국 역사에서 제일 젊은 대통령의 죽음을 리 하비 오스월드 단독 범행으로 결론내린다. 미국인들은 쉽게 수긍하지 못했다. 어떤 이들은 케네디 암살의 배후로 ‘쿠바’에 몰았다. 사악한 공산주의자들이 케네디를 살해했다고 말이다. 반대편에 있는 이들은 케네디 암살을 극우주의자 탓으로 돌렸다. 모두 책임 전가를 했고, 의혹의 불씨를 지폈다. 작은 의심들은 커져서 점차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확신을 붕괴시켰다. 세계 최강국의 최고 지도자가 흉탄에 맞아 사망한 데 이어, 흑인 민권 운동의 지도자 마틴 루터 킹이 암살됐다. 롤링 스톤스 공연에선 경비원으로 일하던 폭주족 ‘헬스 엔젤스’(지옥의 천사들) 일원이 흑인을 대검으로 살해했다. 문제는 이러한 충격적 테러가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인해 발전된 미디어 상황과 맞물렸다는 것이다.

텔레비전 - 음모론의 배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