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이면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됩니다. 총선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이벤트인데요. 그만큼 이번 달 들어 정치권은 매우 분주합니다. 매일같이 정당 구도의 변화를 점치는 새로운 뉴스가 들려오지요.

총선을 앞두고는 늘 창당과 합당이 있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특히 진보정당이 요란해보입니다. 현재 존재하는 정당 중 가장 오래된 정의당이 깨지는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는데요.

정의당이 1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지만, 사실 진보정당의 역사는 길지 않습니다. 진보정치의 공간 창출부터 지지층의 가시화까지 여전히 탐색 단계에 있습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다시 그러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죠.

진보정당이 현재 처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선 이전의 시도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근본적 정치 탐구>에서는 진보정당의 역사를 훑어보려 합니다.

Untitled

본격적인 진보정당의 출현

한국 정치에서 ‘진보’라는 말이 떠오른 것은 불과 30년 전입니다. 정당에서 공개적으로 쓰기 시작한 것은 20년도 되지 않았습니다. 이전까지는 독재 정권을 지지하는 보수여당 vs 민주화를 지지하는 보수야당의 갈등이 정치의 중심이었습니다. 진보정당 운동은 이승만 정권의 진보당 사건* 이후 줄곧 지하에서 이뤄졌고, 민주화 이후에도 보수정당 중심의 정치체제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1987년, 진보정치 세력은 보수야당과 연대해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이 시기 진보정당의 지지 기반이 되는 노조운동 세력도 확장됐습니다. 6월 항쟁 이후 민주노조**가 급증했고, 1995년엔 민주노총이 만들어졌는데요.

1997년, 15대 대선을 앞두고 진보정치 세력화를 목적으로 한 건설국민승리21이 창당됩니다. 진보정치연합과 민주노총,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이 주도했습니다. 대선 후보로는 권영길 민주노총 위원장이 나섰습니다. 당시 공약으로는 평생 고용 보장, 퇴직금 완전 보장, 국가보안법 폐지 등이 있었습니다. 대선 득표율은 1.2%에 그쳤습니다. 2000년, 국민승리21은 민주노동당으로 재창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