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지방선거날 투표는 잘 하셨나. 6.1 지선이 마무리됐다. 보수 여당인 국민의힘이 크게 승리했다는 평가가 다수다. 광역단체장 결과만 놓고 보면 국민의힘은 경기, 호남, 제주를 제외한 12곳에서 단체장 자리를 거머쥐었다. 교육감 선거 결과도 주목받고 있다. ‘진보 교육감 시대’가 막을 내렸다고들 한다.

학교를 다닐 땐 선거권이 없어서, 졸업 후엔 순식간에 학생 시절이 아득하게 느껴져서 교육감 선거에는 큰 관심을 둬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교육감에도 진보, 보수가 나뉜다고? 학교는 정치적 중립이 대단히 강조되는 공간이 아니던가. 진보 교육과 보수 교육은 뭐가 다르다는 걸까. 이번 교육감 선거 결과가 어땠고, 왜 그렇게 된 건지 한번 알아보자.


지금 상황 알아보기


지난 1일에 치러진 전국 시·도 교육감 선거의 경우 보수와 진보 성향 후보들이 수적으로 균형을 이뤘다. 서울·인천·경남·울산·세종에서는 진보 성향의 현 교육감이 재선 혹은 3선에 성공했으며, 경기·강원·부산·충북·제주에선 진보에서 보수 성향으로 바뀌었다. 특히 경기는 진보 교육의 산실이라고 불리며 진보적 교육 정책을 펼치는 데 앞장섰던 곳이다. 경기에선 교육감 직선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보수 성향 교육감이 당선됐다.

지금까지의 교육감 선거에서는 진보 성향 후보가 우위를 나타내왔다. 교육감 직선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된 2010년 선거에선 총 6곳에서 진보 교육감이 당선됐고 이후  2014년에는 13곳, 2018년에는 14곳에서 진보 교육감이 당선됐다. 이번 선거 결과를 놓고 보수 진영의 약진이자 진보 진영의 후퇴라는 해석이 나오는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