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FP via Getty Images, Mandel Ngan

지난 3월,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2년 만에 처음으로 대통령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현재 미국에는 대법원의 낙태권 보장 판결 번복, 총기 난사 사건 증가 등 뜨거운 사회 이슈들이 많습니다. 대통령 거부권은 상징적 의미가 큰 만큼, 많은 사람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앞선 이슈들을 대상으로 첫 거부권을 행사하리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매우 뜻밖의 사안이 거부권 행사의 대상이 됐습니다. 바로 반(反)ESG 결의안입니다.

반ESG 결의안연금 문제에 대한 것입니다. 미국 근로자의 저축연금으로 ESG 투자가 가능하도록 수정한 미국 노동부의 새로운 규정에 공화당이 반발하며 내놓은 결의안인데요.

이 규정에 대해 공화당 릭 스콧 상원의원은 “바이든과 그의 정권은 그들만의 진보적 의제를 미국인의 이익보다 앞장세운다”며 비판했습니다. 같은 당의 존 바라소 상원의원은 ESG를 두고 ‘극좌파적 정치 의제’라고까지 표현했습니다.

한국의 정치권은 ESG와 관련해 큰 방향에서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미국에선 어쩌다 ESG에 ‘좌파’ 딱지가 붙었을까요?

ESG가 뭐길래?

ESG는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첫 글자를 딴 단어로, 기업 활동에 있어 1) 친환경, 2) 사회적 책임, 3) 지배구조 개선, 이 세 가지 요소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는 경영 및 투자 철학입니다.

©Shutterstock

좋게 보면 도덕적인 이야기 같고, 꼬아서 보면 ‘착한 기업’ 이미지를 위한 마케팅 구호로 들립니다. 하지만 ESG는 투자 위험 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한 차원에서 등장한 실무적이고 계산적인 개념입니다. 현재 대다수의 기업과 금융계가 ESG 전략을 택한 것은 ESG가 주주들에게 금전적 이득을 가져다준다판단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