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한 때 모두의 염원이었던 이 노랫말은 현재 청년 세대에게는 더 이상 와닿지 않습니다. 한국 전쟁은 당시 한반도 인구의 10분의 1 이상인 약 3-4백만의 민간인 사망자를 낳았지만, 70년이라는 세월이 지나 현 세대는 그 아픔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시간이 약이 되어 자연스레 아픔이 치유된 것일까요?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현재 한국 사회가 겪는 다양한 문제들은 70년간 이어져온 분단 체제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징병제에 얽힌 젠더 갈등부터, 세계 4위 수준의 안보 비용으로 인해 복지, 교육 등 안정적인 정치·경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사업들이 우선 순위에서 밀리고 있습니다.

끝나지 않은 한반도 분단의 트라우마와 여파는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인이 경험하고 있습니다. 한국 전쟁은 역사상 가장 많은 나라가 한 국가를 대상으로 참전한 전쟁으로, ‘세계내전’의 성격을 띕니다. 북한 지역에서 수습되지 못한 미군 사망자는 6,000명 가량으로 유족들은 여전히 유해를 찾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현실 속, 한반도 평화를 갈망하는 세계 시민 500여명이 정전 70주년을 맞는 7월 27일 워싱턴 DC에 모였습니다. ‘한반도 평화행동’(Korea Peace Action)이라는 행사를 위해서입니다. 현재 미 하원에 계류 중인 한반도 평화법안(H.R.1369: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ct)에 대한 지지를 결집하는 행사인데요. 이 법안은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 여행금지 조치 해제 및 평화협정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7월 27일 기자회견장에 모인 ‘한반도 평화행동’ ©Constance Faulk / WomenCrossDMZ

이 행사가 특별히 뜻깊었던 것은 구성원의 다채로움 때문입니다. 미국의 정치인들을 비롯해 평화공공외교를 펼쳐온 유권자 단체들, 북한에 인도적 지원활동을 펼쳐온 단체, 여성 평화운동 단체, 미국의 참전용사 단체, 반전단체, 종교단체 등 실로 다양한 이들이 참여했는데요. 행사를 이끈 크리스틴 안 대표의 말대로 다세대(multi-generational), 다인종(multi-racial), 다분야(multi-sectoral)의 활동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한국인이 아닌 미국의 정치인 및 활동가들은 왜 한반도 평화에 관심을 갖고 이 운동에 동참하게 된 걸까요? 행사에 참여한 이들에게 직접 그 이유를 들어봤습니다.